본문 바로가기

생활과정보

일상속 자외선차단제 알고 사용하기

반응형

년내내 휴무가 없는 자외선 특히 가을 햇볕은 유난히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와선차단제(썬크림)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미지: 자외선

자외선 종류에는 자외선A, 자외선B, 자외선C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외선 A와B 입니다. 피부 진피까지 침투하는 자외선A는 주름을 생성하는 등 노화를 촉진 시키고 자외선B는 진피까지 침투하지는 않지만 피부 표면에 멜라민 색소를 생성 주근깨의 원인이 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데 자외선 차단제에 적힌 SPF는 자외선B의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SPF뒤에 숫자는 자외선에 의해 화상이 일어나기 전까지 보호해 주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SPF1=약15분 차단, SPF30=약450분 약 7시간 정도의 차단 효과가 있다고 의미합니다. PA라고 적혀있는 부분은 자외선A의 방어지수를 나타 냅니다. PA는 SPF처럼 숫치로 표기하지 않고 PA+, PA++, PA+++등 3단계 등급으로 표기하는데 +가 많을수록 차단 효과가 큽니다. PA+= 약2~4시간 차단,PA++= 약4~8시간 차단 효과가 있습니다. UVA가 계절에 상관없이 일정한 반면 UVB는 일년중 3월에서 9월사이 즉 여름에 가장 많아집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때에는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해 올바른 사용법이 중요합니다. 보통 여성분들은 하루에 한번 일찍 바르고 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경우 자외선이 강한 낮시간대에는 차단제가 피부의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효과를 보지 못합니다. SPF15-30 제품을 권장량을 지켜서 바를 경우 자외선 차단효과는 평균 8시간 정도 유지되지만 이것은 피부에 바른 차단제가 제거되지 않았을때 기준이고 실제로는 활동을 하면서 땀 등으로 씻겨나가지 때문에 차단제 효과는 시간이 갈수록 감소 합니다. 따라서 아침일찍 발랐다 해도 덧발라 주는것이 좋고 특히 땀을 흘리는 계절이거나 물놀이 등을 한다면 꼭 덧발라 주어야 합니다.

이미지: 자외선차단제

자외선A는 비오는 날에도 내리쬐고 있습니다. 특히 실내에서는 자외선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생각해 바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자외선A는 흐린날 비오는 날에도 70%가 유리를 뚫고 들어올 수 가 있습니다. 자동차에 검은태닝 유리도 자외선의 약 70%가 투과되며 색깔없는 유리는 90%이상이 투과될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에서 근무하는 사람들도 자외선A를 차단할 수 있는 제품을 발라 주어야 합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너무 적게 바르면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500원짜리 동전 크기만큼 충분한 양을 발라야 차단 효과가 있습니다. 또 바를때에는 문질러 바르면 차단 성분의 화학적 특성때문에 피부의 잘 발리지 않을 수 있으니 소량씩 두드려 주면서 여러번 덧바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래야지 번들거리지 않고 충분한 양을 바르실 수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제도 식품처럼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개봉전에 2,3년 개봉후에는 1년정도 이므로 작년에 쓰던것은 과감히 버리고 가능한 유통기한을 지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화장품 겉면을 보시면 뚜껑그림이 있고 12M 혹은 24M이라고 적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개봉후에 12개월 24개월 이내에 쓰라는 의미니깐 오랫동안 쓰시던 것은 과감히 버리시고 가능한 유통기한을 지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피부자극을 줄이면서 자외선 차단효과를 보시려면 SPF30의 제품을 2~3시간 간격으로 덧발라 주는 것이 효과적 이라고 합니다. 또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표면에 균일하게 흡수되는데 약30분정도가 걸립니다. 외출 30분전에 발라두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반응형

'생활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잘 보존해야 할 한글  (0) 2015.10.18
생명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0) 2015.10.18
우리가 흔히 먹는 초콜릿 효능  (0) 2015.10.18
카페인이 미친는 영항  (0) 2015.10.18
건강하게 물 마시기  (0) 2015.10.18